음악이론 기초 강의입니다.
오늘은 계이름과 음이름에 대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.
<꼭 알아야 하는 실용음악 이론, 기초 편 교재를 참고하세요~
*교재는 서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.
계이름
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
악보를 볼 줄 몰라도 "도레미파솔라시도"는 대부분 알고 있을 텐데요.
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"도레미파솔라시도"가 바로 계이름입니다.
피아노 건반에서 보면 검은색 건반이 두 개 혹은 세 개씩 나열되어 있는데요.
검은색 건반 두 개 아래 있는 음이 바로 계이름 "도"입니다.
피아노를 보고 도의 자리를 찾을 수 있겠죠~
높은 음자리표 악보에서는 둘째 줄이 계이름 "솔"입니다.
계이름 "솔"을 기준으로 아래로는 도레미파, 위로는 솔라시도입니다.
음이름
음이름은 영어 음이름과 한글 음이름을 알아야 합니다.
악보를 보다 보면 영어로 쓰여있는 코드를 볼 수 있을 텐데요.
영어 음이름을 알면 코드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
영어 음이름은
C D E F G A B C
계이름 "도"가 영어 음이름 "C"입니다.
그런데 왜~?
계이름 "도"가 영어 음이름으로는 알파벳 A가 아니고 "C"일까요?
악보에 그려진 "라"음은 1초에 440번 진동하는 440Hz로
세계적으로 음높이의 기준을 통일하기 위해 정해진 국제 표준음입니다.
국제 표준음을 알파벳 첫 글자인 "A"로 정했고 순서대로 B, C가 되기 때문에
도의 음이름은 "C"입니다.
피아노, 기타 등의 악기를 조율할 때 이 국제 표준음에 맞춰 조율하고
오케스트라 악기들도 오보에의 A음정에 맞춰 다른 악기들을 조율합니다.
그래서 영어 음이름은 순서대로
C D E F G A B C입니다.
한글 음이름
한글 음이름은
계이름 "라"가 영어 알파벳의 첫 글자인 "A"였던 것처럼
가나다의 첫 글자인 "가"입니다.
한글 음이름은 순서대로
다 라 마 바 사 가 나 다입니다.
가득뮤직 음악이론 화성학 기초 강의 이번시간에는
계이름, 영어 음이름, 한글 음이름에 대해서 공부하였습니다.
악보를 보면서
계이름으로 혹은 영어음이름, 한글음이름으로 읽어보면서 연습해보시기 바랍니다.^^
'음악이론 화성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음악이론 낮은음자리표 (0) | 2021.04.27 |
---|---|
음악이론 - 높은 음자리표 (0) | 2020.08.06 |
음악이론 강의 제1강 오선과 덧줄, 덧칸 (0) | 2019.09.11 |